통영군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영군 갑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된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통영군 통영읍, 용남면, 산양면 등을 관할했으며, 1955년 통영읍이 충무시로 승격되면서 충무시 선거구와 통영군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재학, 서상호, 최천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전주시 (1950년 선거구)
전주시 (1950년 선거구)는 전주부에서 전주시로 개칭된 후 제2, 3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었으며,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분리, 폐지되었다. - 1958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북제주군 갑
북제주군 갑은 1948년 신설되어 1958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제주읍, 조천면, 구좌면을 관할하며 홍순녕, 김인선, 김석호 총 3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 통영시의 정치 - 통영시·고성군
통영시·고성군은 경상남도 통영시와 고성군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1995년 통영시 신설과 함께 충무시·통영군·고성군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되었고, 김동욱, 김명주, 이군현, 정점식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통영시의 정치 - 통영시장 선거
통영시장 선거는 통영시의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며, 역대 선거에서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고, 1995년 고동주가 초대 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2018년 강석주가 진보 정당 최초의 통영시장이 되었고, 2022년 천영기가 당선되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경상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통영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통영군 갑 |
의회 | 국회 |
지도 연도 | 알 수 없음 |
연도 | 1948년 |
폐지 | 195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이후 선거구 | 충무시 통영군 |
유권자 | 알 수 없음 |
의원 | 알 수 없음 |
정당 | 알 수 없음 |
지방 의회 | 알 수 없음 |
지방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영군의 일부 지역(통영읍, 용남면, 산양면, 도산면, 광도면, 한산면, 둔덕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이 섹션에서는 통영군 갑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1955년 9월, 통영군 통영읍이 충무시로 승격되면서 충무시 선거구와 통영군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1대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김재학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 서상호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서상호 | 무소속 | 14,398 | 32.05 |
김재학 | 무소속 | 8,132 | 18.10 |
최천 | 무소속 | 5,087 | 11.32 |
지산만 | 무소속 | 4,770 | 10.61 |
이정규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547 | 10.12 |
노기만 | 무소속 | 3,681 | 8.19 |
박명국 | 무소속 | 2,232 | 4.96 |
조벽래 | 사회당 | 1,590 | 3.53 |
박두조 | 무소속 | 484 | 1.07 |
합계 | 44,921 | 100 |
4. 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최천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천 | 민주국민당 | 14,235 | 32.94% |
배철세 | 자유당 | 9,080 | 21.01% |
노기만 | 무소속 | 7,054 | 16.32% |
이정규 | 무소속 | 4,790 | 11.08% |
정찬진 | 무소속 | 3,216 | 7.44% |
김재학 | 무소속 | 1,901 | 4.39% |
서상호 | 무소속 | 1,265 | 2.92% |
진평헌 | 무소속 | 767 | 1.77% |
지두호 | 무소속 | 505 | 1.16% |
박중한 | 무소속 | 396 | 0.91% |
지산만 | 자유당 | 0 | 0% |
조벽래 | 농민회 | 0 | 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